이슈

2025년까지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을 통한 공공 서비스 혁신, 어떻게 이루어지나?

페이지 정보

작성자 TISSUE 작성일 24-04-11 16:29 댓글 0

본문

2025년까지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을 통한 공공 서비스 혁신 어떻게 이루어지나 c392bb6bfb7f7e815e64204c0d3594c4_1712820505_6927.png
 


한국의 공공 부문 정보 시스템이 2025년까지 클라우드 네이티브로 전환됩니다. 이는 24시간 중단 없는 디지털 서비스 제공과 장애 발생 시 즉각적인 개선을 목표로 합니다. 이번 전환은 총고용 및 산업재해 보험 서비스, 국가 대중교통 정보 등 24시간 안정적인 디지털 서비스를 요구하는 21개 행정 및 공공 기관의 정보 시스템을 대상으로 진행됩니다.



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의 중요성


클라우드는 인터넷을 통해 필요할 때마다 IT 리소스를 사용하는 방법입니다. 이를 통해 공공 부문에서 급증하는 디지털 수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습니다. 클라우드 네이티브는 정보 시스템 설계 단계부터 클라우드 기술(기능 분리, 자동 확장, 자동 배포 등)을 적용함으로써 안정성, 확장성, 속도의 이점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.



전환 계획과 실행 과정


행정안전부는 2021년부터 클라우드 전환을 적극 추진하여 총 19,000개 정보 시스템 중 약 6,000개의 전환을 완료했습니다. 하지만 클라우드로 전환된 시스템에 네이티브 방식이 적용되지 않아 접근 지연 및 기능 장애로 인한 서비스 실패 등 안정성에 한계가 있었습니다.


이에 따라 행정안전부는 클라우드 네이티브로의 전환을 위해 올해 4월부터 11월까지 컨설팅 프로젝트를 진행하여, 기술적으로 어려운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계획입니다. 이는 시스템별로 네이티브 전환에 따른 효과 분석 및 최적의 기술 요소를 적용할 목표 모델을 수립하는 것을 포함합니다.



선도 프로젝트 및 가이드라인 제공


온나라 지식 시스템을 포함한 3개 시스템에 대한 클라우드 네이티브 파일럿 전환 프로젝트가 지난해 6월부터 진행되어 올해 10월까지 완료될 예정입니다. 이 프로젝트의 경험을 바탕으로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에 대한 세부 가이드라인을 준비하고 모든 행정 및 공공 기관에 배포할 예정입니다.


행정안전부 디지털정부혁신실 서보람 실장은 "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을 통해 안정적이고 신속한 행정 및 공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될 것"이라며, "디지털 플랫폼 정부의 질을 높이는 데 기여하기 위해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을 적극 추진하겠다"고 강조했습니다. 이러한 전환은 공공 서비스의 혁신을 가능하게 하여 국민에게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할 것입니다. <자료출처=정책브리핑 www.korea.kr>



#클라우드네이티브 #공공서비스 #행정안전부 #디지털혁신 #정보시스템 #안정성 #확장성 #기술적대응 #컨설팅프로젝트 #디지털정부 #클라우드전환 #디지털플랫폼

추천0 비추천 0

댓글목록 0
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



구글트랜드 오늘의 핫이슈

 

당신의 관심과 사랑이 사이트의 가치를 만듭니다.
Copyright © tissue.kr. All rights reserved.